리쿠르팅/구인구직

“핫이슈” 경험생명표의 변경과 연금 보험료상승

ds1sny 2009. 12. 26. 02:56

 “핫이슈” 경험생명표의 변경과 연금 보험료상승

Posted : 2009-12-25 10:20

 

 

2010년 부터 연금 보험료는 인상되고 종신 보험, 정기 보험의 보험료는 내려간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보험사들이 보험개발원의 새 참조위험률을 반영, 연말까지 보험료를 조정한다고 밝혔다.

2010년에 경험생명표가 변경된 이후 보험 상품의 변화가 주시되는 시점이다.
경험생명표란 “생명보험에서 피보험자의 생명현상을 일정 기간 집단적으로 관찰하여 연령과 함께 변화하는 사망률에 관련된 사실을 분석하여 작성한 표” 이다. 현재 1차에서 5차 경험생명표로 개정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평균 연령은 계속 증가 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것이 6차 개정에서도 나타 날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험생명표의 변화로 연금 저축, 연금 보험 등 연금 상품의 문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연금나라(http://yungumnara.com)에 따르면 평균 연령이 증가 함 에 따라 보험사는 추후 연금액 지급 시 보험사의 부담이 늘어나게 되어 12월 이후 가입자들은 12월 이전 가입자보다 약 3.2~8% 정도의 보험료 상승효과가 나타난다고 전하고 있다.

연금보험이란 “피보험자의 종신 또는 일정한 기간 동안 해마다 일정 금액을 지불할 것을 약속하는 생명 보험” 이다. 현재 안정적으로 노후를 대비하는 상품인 연금 상품에 대한 보험료 인상은 연금가입을 예정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마음을 조급하게 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연금 상품 가입 시 체크 사항에 대해 진단해보자.

첫째, 소득 공제가 가능한 연금 상품인지 아니면 비과세 상품 인지 확인하고 가입 하여야 한다. 소비자 입장에서 자신에게 어떤 상품이 적합한지 비교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소득자 에게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실질수익률을 올려 더 유리하다.

둘째, 공시이율이 높은 상품을 선택하여야 한다. 공시이율은 은행 이자율이라고 생각하면 간단하다. 연금 상품은 대부분 공시이율이 변동되지만 현재공시이율이 높은 상품이 유리 할 것이다.

셋째, 최저 보증이율을 검토해 보고 판단하여야 한다. 최저보증이율은 공시이율의 최저점을 의미한다. 즉, 변동되는 공시이율이 내려가더라도 최소한 최저보증이율만큼 보장을 해준다는 의미이다. 연금 상품은 장기 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만 하는 상품인 만큼 최저 보증이율은 최후의 지지선이 될 것이다.

넷째, 각 보험사별 사업비 지수를 비교해 보아야 한다. 사업비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낮으면 평균 보다 낮다는 의미로 100이상 이면 평균보다 높다는 의미로 생각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비 지수는 각 보험협회 공시 실에서 각 생명 사 별로 간단하게 조회 할 수 있다.

위 네 가지 체크 사항 말고도 중도 인출, 납입 정지 등 세세한 사항들을 비교해보고 가입하는 것이 소비자 입장에서 유리하다.

연금보험을 비롯하여  전 상품을 비교하여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제안서로 고객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