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쿠르팅/구인구직

[군사]직업군인되는 방법, 선택5. 학.군협약 학교

ds1sny 2010. 1. 19. 00:01



직업군인 되는 방법, 선택5. 학.군협약 학교입학 (육군)

직업군인을 꿈꾸고 있는 당신! 지금 가장 큰 고민거리는 진학문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육군에서는 민간학교들 과의 제휴를 통해 여러 가지 경로를 마련해 놓았답니다.

직업군인 되는 방법 그 다섯 번째, 학.군협약 학교입학 편.
이번에는 학교에서 공부도 하고 싶고, 장교 및 부사관의 꿈도 키우고 싶을 때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군사학과 (장교임관)

Q. 군사학과란 무엇인가요?

대학교를 통해 장교가 되기 위해서는 사관학교 진학, 학사장교, ROTC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그 외에 다른 경로는 없을까요?
여기에 장교로 임관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군사학과 진학입니다.


군사학과는 2003년 대전대학교에 국내 최초로 설립된 이후, 경남대, 원광대, 조선대 등의 대학이 육군본부와 학.군협약을 통해 군사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약160여명의 예비 장교를 교육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문성을 지닌 교육기관과 협약을 맺어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직업군인을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된 학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군사학과만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군사학과에 진학하게 되면 대학교를 다니는 4년 동안 등록금 전액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종합대학이라는 환경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분야를 동시에 배울 수 있습니다. (복수전공/부전공)

장교를 꿈꾸는 여학생들도 군사학과에 진학할 수 있습니다.
여학생의 경우 등록금 지원기준이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 특정 점수 이상의 성적만 유지하면 전액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군사학과를 졸업한 후 육군 소위에 임관하게 되면 사관학교 출신 장교와 동일한 자격조건이 주어지며
복무기간도 사관학교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군사학과 모집은 일반대학과 같은 시기에 수시/정시를 통해 이루어져 있으며, 학교별로 모집요강에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각 학교별 군사학과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http://home.dju.ac.kr/ms/
경남대학교 군사학과 http://www.kyungnam.ac.kr/~ma/
원광대학교 군사학부 http://gunsa.wonkwang.ac.kr/
조선대학교 군사학부 http://www.chosun.ac.kr/~soldier/


(2) 부사관학과

Q. 부사관학과는 어떤 곳인가요?

장교 임관을 위한 학과로 군사학과가 있다면, 전문 부사관 임관을 위해서는 바로 부사관학과가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취지와 같은 맥락으로, 부사관학과 또한 민간대학과의 학술교류협정을 통해 전문 인력을 뽑고자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입학생의 전원을 군 장학생으로 모집하는 군사학과와는 달리 부사관학과는 입학 후 개인의 능력으로 군장학생 선발에 통과해야 합니다.
하지만 학.군협약의 대상이 늘어나면서 군장학생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



Q. 부사관학과를 졸업하고 나면 어떻게 되나요?

부사관학과를 졸업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임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부사관 선발 시험에서 가산점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군 관련 진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부사관 임관  - 주로 전투, 행정병과로 배치
2. 3사관학교 편입 - 2년의 추가 교육을 마치고 장교로 임관
3. 군무원이나 방위산업체 지원
4. 부사관 복무 중 장교지원 가능 (준사관, 단기사관)



(3) 학군제휴 특수학과 (기술부사관)

@ 기술부사관을 위해 만들어졌다. 학군제휴 특수학과!!

학군제휴 특수학과란 쉽게 말해서 첨단무기 및 국방물자를 운용하기 위한 전문적인 기술부사관을 양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토탄약과, 헬기정비과, 총포광학과 같은 학과 이름을 보면 어느 정도 감이 잡히시나요?



이렇게 기술 전문성을 키우는 인력이니 만큼 기술부사관에 지원할 경우 결격사항만 없다면 전원 임관이 보장됩니다.
게다가 입학부터 졸업까지 장학금을 받으면서 다닐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부사관 장학생에 해당되어 의무복무기간은 4년이 됩니다.
(일반 의무복무 2년+장학금수혜기간 2년) 여학생 또한 기술부사관으로 입대한다는 전제조건 하에 장학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술부사관에 복무하는 중에도 편입이나 대학원 등으로 학업을 계속한다면,
육군으로부터 등록금을 추가로 지원받는 혜택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기술부사관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여러 가지 진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1. 3사관학교 편입 후 장교 임관
2. 방위산업체 지원 - 우선 채용 대상자 자격 획득
3. 단기복무 후 군무원 지원 - 가산점 부여

2009년 현재 7개 대학의 12개 학과에서 입학정원 1130명으로 운영 중이며, 다음 표는 올해 진행 중인 정시 1차 모집 내용입니다.


(4) 전문계 고교

@ 고교진학만으로도 직업군인이 될 수 있는 군 특성화 고교

 혹시 중학교 때부터 직업군인의 꿈을 가지고 있다면, 군 특성화 고교로의 진학은 어떨까요?


군 특성화 고교란 실업계 고등학교에 군 첨단장비학과를 운영하여, 관련분야로의 취업을 지원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현재 특수자통차, 헬기정비, 유도미사일 등의 학과가 개설되어 있으며 관련분야 전문병 복무, 부사관 진출, 방위산업체 취업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당 학과가 개설된 학교의 2학년을 대상으로 근무희망자를 선발하여 3학년 때 국가관, 기술교육, 직업윤리 등이 포함되어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 교육을 받게 됩니다. 이때, 훈련수당으로 시간당 만원(연 150~200만원)의 장학금도 지급받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지나 졸업 후에는 총 3년의 의무복무(전문병 18개월 + 전문하사 18개월)를 거치게 됩니다.
복무 후에는 부사관으로 연장복무 및 장기 지원이 가능하며, 전역 후 방위산업체로 지원할 경우 우선 선발 대상자에 속할 수 있습니다.



2009년에 1기를 배출한 군 특성화 고교 프로그램은 전국 10개 고교에서 연간 500명씩 선발하고 있으며, 평가 후에 그 규모를
점차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임대홍 블로그기자☜

<직업군인 되는 방법>

선택1.   육군(장교1) http://captainpark.tistory.com/347
선택1-1. 육군(장교2) http://captainpark.tistory.com/351
선택1-2. 육군(부사관) http://captainpark.tistory.com/352

선택2.   해군(장교) http://captainpark.tistory.com/361
선택2-1. 해군(부사관) http://captainpark.tistory.com/362

선택3.   공군(장교) http://captainpark.tistory.com/371
선택3-1. 공군(부사관) http://captainpark.tistory.com/373

선택4.   국군간호사관학교 http://captainpark.tistory.com/370

선택5.   학군협약 학교 http://captainpark.tistory.com/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