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장 주민들이 단단히 뿔났다. ‘천덕꾸러기냐’, ‘찬밥이냐’는 등의 격한 표현을 써 가며 국회 정치개혁특위가 확정한 도의원 선거구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위는 아산의 도의원 선거구를 획정하면서 선장면을 기존의 2선거구(송악, 도고, 신창, 선장, 배방, 온양4·5·6동)에서 제1선거구(염티, 둔포, 영인, 인주, 선장, 온양 1·2·3동)로 구분 하는 선거구 개편을 단행했다.
그러나 이같은 도의원 선거구 개편은 선장면의 실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정개특위 편의에 의한 잣대로, 주민은 아랑곳 않는 개편이라며 강하게 성토하고 있다.
선장면은 모든 생활권이 도고면과 신창면에 연계해 있으며 특히 도고면과는 중학교(선도중)와 농협은 통합으로 학구와 조합을 형성하고 있어 단일 생활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치안을 담당하는 파출소도 하나의 권역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주민금고라 할 수 있는 마을금고도 아산새마을금고로 선장과 도고가 합쳐서 운영하고 있으며 버스 등 대중교통의 노선도 도고와 신창으로 연결이 돼 있는 같은 생활 권역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같은 현실을 무시하고 국회 정개특위는 선장면을 곡교천 건너 염티, 인주, 영인 등 제1선거구로 편입시켜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특히 이같은 도의원 선거구의 획정으로 인해 같은 범위 내에서 시의원 선거를 해야하는 처지로 시의원 선거구마저 생활과는 무관한 곳에서 선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빚어질 것으로 보여 주민 생활자치를 한다는 기초의회의 취지에도 역행하는 꼴을 초래하고 있다.
김기태 선장면 주민자치위원장은 “주민 생활자치가 지방자치의 근본 취지인데 이를 억지로 짜맞추는 국회가 한심할 뿐으로 이는 국회 스스로 지자체를 부정하는 꼴로 생활 권역에 맞게 재조정 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정개특위서 묵살” 이명수 국회의원 밝혀
생활권과 관련없는 국회방식의 도의원 선거구 개편에 대해 문제점을 국회 정개특위에 전달했으나 정개특위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강행했다고 이명수 국회의원이 전했다.
이 의원은 정개특위가 행안부에서 올라온 안을 놓고 논의를 했으나 인구수 편차를 헌재의 불합치 판정에 의해 4분의 1을 초과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다보니 이 같은 선거구로 쪼개졌다면서 이 의원도 정개특위에 불만을 토로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당초 선장면을 온양1, 2, 3동, 송악, 도고, 신창과 함께 2선거구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 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