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반쪽보도로 얼룩진 연평도 속보경쟁
한겨레 | 입력 2010.11.30 20:40
[한겨레] 조중동등 '열압력탄' 오보내고
사진 명암 과하게 손대기도
'확전불사' 여론만 부각시켜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언론 보도가 지나치게 '확전을 불사하는 강경 대응' 여론만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남북 대결 격화 흐름에 편승하는 지나친 추정보도로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이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지난 24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 조사를 보면, '확전되더라도 군사대응' 응답은 44.8%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반면 '교전수칙으로 대응하되 확전 막아야'는 33.5%, '군사적 대응 대신 외교적·경제적 대응해야'는 16.2%로 나왔다. '군사적 강경 대응'과 '확전만은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엇비슷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조·중·동 등의 지면에는 '반쪽의 여론'만이 분출되고 있다. 이들은 포격 이후 사설 등을 통해 우리 군이 '확전 방지 원칙'에 집착한 나머지 북한에 대한 군사적 대응 조처가 미흡했다고 질타했다. 향후 대응 방안도 교전수칙을 적극적인 개념으로 발전시킬 것을 주문하는 등 강경 일변도 해결책에 초점을 맞췄다. 경우에 따라선 '국민의 희생'도 필요하다고도 했다.
방송에도 북한 타격을 가상한 시나리오 등 강경 대응을 부추기는 듯한 보도가 넘쳐났다.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한 지난 23일부터 29일까지 < 한국방송 > (KBS) '뉴스9'의 보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207건의 관련 뉴스 가운데 심층적인 원인 분석과 향후 한반도 정세 및 수습 방안, 국내외 전문가 진단은 7꼭지에 불과했다. 대부분 우리 군의 군사력을 점검하는 보도와 속보성 상황 전달 보도로 도배하다시피 했다.
추측성 보도와 오보는 국민 혼란을 가중시켰다. < 중앙 > ('북, 열압력탄 공격…연평도 초토화 노렸다'·1면)과 < 조선 > ('북, 대량살상용 방사포열압력탄 쐈다'·1면), < 동아 > ('북 포탄 열압력탄 확실'·2면·이상 26일치) 등은 북한이 대규모 인명살상용인 열압력탄을 사용했다고 크게 보도했지만, 군은 28일 "열압력탄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국방송과 < 에스비에스 > (SBS)는 23일 오후 연평도 포격 속보를 전하는 과정에서 연평도의 위성사진이라며 검은 연기가 치솟는 흑백사진을 내보냈으나, 확인 결과 2003년 4월2일 이라크전쟁 당시 미군의 바그다드 포격 사진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작이 금기시된 보도사진도 덧칠 논란에 휩싸였다. 연평도 포격 다음날인 24일 신문들은 1면에 연평도 마을과 산이 불에 타 연기가 피어오르는 컬러 사진을 일제히 실었다. 조선은 연평도 주민, 중앙은 여행객, 동아는 연합뉴스가 출처라고 밝혔는데, 유독 이들 신문 사진은 화염과 연기에 검붉은색이 뚜렷하게 부각됐다. 해당 신문의 한 사진부 기자는 "화상팀에서 선명한 화상이 나오게 명암을 강조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신문의 사진부 기자는 "평소 사진을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 명암을 조절하긴 하지만 3개 신문은 윤리적인 허용 범위를 넘어선 것 같다"고 말했다.
동아는 25일치(10면) 사진기사에선 합동분향소를 방문한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유가족에게 멱살을 잡혔다고 설명을 달았다가 다음날 '옷깃을 부여잡으며 사인 규명을 호소한 것'이라는 손 대표 쪽 반론을 실었다.
안민호 숙명여대 정보방송학과 교수는 "긴장관계가 진행중인 상황에선 언론이 더욱 사실 전달에 충실하고 확전 관련 문제는 단어 하나하나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며 "국민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으로 보도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사진 명암 과하게 손대기도
'확전불사' 여론만 부각시켜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언론 보도가 지나치게 '확전을 불사하는 강경 대응' 여론만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남북 대결 격화 흐름에 편승하는 지나친 추정보도로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이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조·중·동 등의 지면에는 '반쪽의 여론'만이 분출되고 있다. 이들은 포격 이후 사설 등을 통해 우리 군이 '확전 방지 원칙'에 집착한 나머지 북한에 대한 군사적 대응 조처가 미흡했다고 질타했다. 향후 대응 방안도 교전수칙을 적극적인 개념으로 발전시킬 것을 주문하는 등 강경 일변도 해결책에 초점을 맞췄다. 경우에 따라선 '국민의 희생'도 필요하다고도 했다.
방송에도 북한 타격을 가상한 시나리오 등 강경 대응을 부추기는 듯한 보도가 넘쳐났다.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한 지난 23일부터 29일까지 < 한국방송 > (KBS) '뉴스9'의 보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207건의 관련 뉴스 가운데 심층적인 원인 분석과 향후 한반도 정세 및 수습 방안, 국내외 전문가 진단은 7꼭지에 불과했다. 대부분 우리 군의 군사력을 점검하는 보도와 속보성 상황 전달 보도로 도배하다시피 했다.
추측성 보도와 오보는 국민 혼란을 가중시켰다. < 중앙 > ('북, 열압력탄 공격…연평도 초토화 노렸다'·1면)과 < 조선 > ('북, 대량살상용 방사포열압력탄 쐈다'·1면), < 동아 > ('북 포탄 열압력탄 확실'·2면·이상 26일치) 등은 북한이 대규모 인명살상용인 열압력탄을 사용했다고 크게 보도했지만, 군은 28일 "열압력탄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국방송과 < 에스비에스 > (SBS)는 23일 오후 연평도 포격 속보를 전하는 과정에서 연평도의 위성사진이라며 검은 연기가 치솟는 흑백사진을 내보냈으나, 확인 결과 2003년 4월2일 이라크전쟁 당시 미군의 바그다드 포격 사진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작이 금기시된 보도사진도 덧칠 논란에 휩싸였다. 연평도 포격 다음날인 24일 신문들은 1면에 연평도 마을과 산이 불에 타 연기가 피어오르는 컬러 사진을 일제히 실었다. 조선은 연평도 주민, 중앙은 여행객, 동아는 연합뉴스가 출처라고 밝혔는데, 유독 이들 신문 사진은 화염과 연기에 검붉은색이 뚜렷하게 부각됐다. 해당 신문의 한 사진부 기자는 "화상팀에서 선명한 화상이 나오게 명암을 강조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신문의 사진부 기자는 "평소 사진을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 명암을 조절하긴 하지만 3개 신문은 윤리적인 허용 범위를 넘어선 것 같다"고 말했다.
동아는 25일치(10면) 사진기사에선 합동분향소를 방문한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유가족에게 멱살을 잡혔다고 설명을 달았다가 다음날 '옷깃을 부여잡으며 사인 규명을 호소한 것'이라는 손 대표 쪽 반론을 실었다.
안민호 숙명여대 정보방송학과 교수는 "긴장관계가 진행중인 상황에선 언론이 더욱 사실 전달에 충실하고 확전 관련 문제는 단어 하나하나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며 "국민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자극적이고 선정적으로 보도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리쿠르팅 > 구인구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어선]불법조업 中어선 단속 해경 6명 부상 (0) | 2010.12.01 |
---|---|
[중국 어선] 제주]바다위의 무기고 중국어선 폭력 행위 심화 (0) | 2010.12.01 |
[북한 도발]연평도 입도한 前 특수부대 요원들 (0) | 2010.12.01 |
[북한 도발]연평도 피해주민 '심리적 공황장애' 호소 (0) | 2010.12.01 |
[북한 도발]“전쟁 터지나…” 북 권력층, 가장 떨고 있다 (0) | 2010.12.01 |